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예비군 훈련 기간 완전정리 2025년

by ssoloss 2025. 5. 15.

    [ 목차 ]

2025년 예비군 훈련이 크게 바뀝니다. 기존과 달라진 훈련 명칭부터 신청 방식, 훈련비까지 예비군이라면 꼭 알아야 할 필수 정보만 모았습니다. 특히 훈련비 지급 확대지연 입소 제도 개선은 실질적인 혜택이 될 수 있으니,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.

2025년 예비군 훈련, 이렇게 달라집니다

1. 바뀐 훈련 명칭과 구조

2025년부터는 예비군 훈련의 용어가 아래와 같이 변경됩니다.

  • 비상근예비군 → 상비예비군
  • 동원훈련 → 동원훈련 Ⅰ형
  • 동미참훈련 → 동원훈련 Ⅱ형
  • 예비군훈련 보상비 → 예비군 훈련비

이처럼 용어가 체계적으로 정리되어, 예비군훈련의 이해도가 높아졌습니다.

2. 훈련방식 변화: 신청부터 내용까지

  • 지역예비군훈련은 이제 원하는 날짜에 선택 가능합니다. (시범부대: 31, 37, 56사단)
  • 동원훈련 Ⅱ형은 4일 중 1~2일은 주특기과목 집중 편성으로 실전성 강화 (시범부대: 32, 36, 51사단)
  • 작계훈련시간은 연간 12시간은 유지하면서 반기별 탄력 조정 가능 (시범부대: 35, 53, 55사단)

💡 지금 확인하세요!

예비군 홈페이지에서 나의 훈련 일정을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.

훈련 일정 조회하기

3. 훈련비 & 교통비 지급 확대

  • 동원훈련 Ⅱ형 훈련비: 1일 1만 원 지급
  • 작계훈련 교통비: 1일 3천 원 지급
  • 예비군훈련 참가비: 훈련비 + 교통비 + 급식비 포함

기존에는 지급되지 않았던 항목까지 보상이 확대되어, 실질적인 부담이 줄어듭니다.

훈련 연기제도 및 입소 지연 완화

1. 훈련 연기제도 제한

기존에는 연기 횟수 제한이 없었으나, 2025년부터는 주요 대회 참가 사유로 인한 연기는 총 6회로 제한됩니다.

2. 입소 지연 허용시간 조정

  • 기존 : 09:30까지 허용
  • 2025년부터 : 10:00까지 허용
  • 지연 도착 인원에 대한 보충훈련 조항 신설

불가피한 사유로 지각 시에도 일정 시간 내에는 입소가 가능해졌으며, 실질적인 대응책까지 마련되었습니다.

예비군의 날 특별 문화혜택

예비군의 날(4월 4일)을 기념하여, 4월 한 달 동안 병역이행자 대상 문화혜택이 제공됩니다.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
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바로가기

🎁 추가 혜택 확인 팁

예비군 홈페이지에 로그인하면, 개인별 혜택 및 일정도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FAQ: 자주 묻는 질문

Q1. 동원훈련 Ⅰ형과 Ⅱ형의 차이는 뭔가요?
A. Ⅰ형은 기존 동원훈련 개념이며, Ⅱ형은 전문성과 실전성을 강화한 주특기 중심 훈련입니다.
Q2. 지역예비군 훈련 일정을 직접 선택할 수 있나요?
A. 네. 2025년부터 일부 시범부대에서 원하는 날짜에 신청하는 방식으로 바뀌었습니다.
Q3. 훈련비는 어떻게 지급되나요?
A. 훈련참가 후 일정 기간 내로 개인 계좌로 입금됩니다. 훈련 종료 후 예비군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
마무리하며

2025년 예비군 훈련은 단순한 일정 변화가 아닌, 실질적인 혜택과 제도개선에 초점을 맞춘 변화입니다. 특히 실전성 강화, 훈련비 보상 확대, 신청 편의성까지 모두 개선되었기 때문에, 올해 예비군이라면 꼭 숙지해야 할 필수 정보입니다.

지금 바로 예비군 홈페이지에 접속해, 내 훈련 일정을 확인하고 보상 혜택도 놓치지 마세요!

👇 한눈에 정리된 예비군 훈련 정보 보러가기

[예비군 공식 홈페이지]